건강 및 식품 효능 공부

독감예방접종 사전예약 알아보기

이야기하는이 2021. 10. 12. 00:33
반응형

 

독감예방접종 사전예약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코로나19로 잠시 잊혀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즉 독감예방접종 사전예약이 지난 10월 5일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아무래도 대코로나를 살아가는 요즘이다보니 예방접종 사전예약을 생각하면 단연 코로나19 백신 접종만 생각하게 됩니다만 독감예방접종 사전예약은 매년 시행되는 연례행사와도 같기 때문에 날이 추워지기 전 독감예방접종 사전예약을 통해 예약하시고 접종에 나서 건강을 챙기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독감예방접종 사전예약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독감예방접종 사전예약 접종 대상자

우선 독감예방접종 사전예약은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합니다.

 

먼저 65세 이상 어르신 독감 예방접종 사전예약 일정 및 방법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지난 5일부터 75세이상 접종대상자들부터 사전예약이 시작되었으며 12일부터는 70 ~ 74세로 확대, 그리고 14일부터는 65 ~ 69세로 사전예약이 확대 시행됩니다.

 

독감예방접종 사전예약 방법

사전예약은 질병관리청 사이트(http://ncvr.kdca.go.kr)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시스템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시스템

ncvr.kdca.go.kr

1339콜센터 등을 통하여 실시하는데 사이트을 통하여 본인이 직접 예약이 어려운 경우 자녀 등이 대리예약도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독감예방접종은 지정된 동네 의원이나 보건소에서 실시하게 되는데 주소지에 관계없이 전국 어느 곳에서나 무료접종이 가능하니 본인 일정에 맞추어 접종을 하셔도 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정된 의료기관을 찾는 방법 역시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에서 지정의료기관 찾기로 검색이 가능하니 이 또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바로가기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nip.kdca.go.kr

 

독감예방접종 주의사항

<예방접종 준비시>

-건강 상태가 좋은 날에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혼잡을 피하고 장시간 기다리지 않도록 사전 예약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방접종 위탁 의료기관을 확인하고 유선으로 예약일을 확인한 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접종 대상자, 보호자는 발열 등 호흡기 증상이 있을 시는 내원 전 반드시 의료기관에 알려주시고 접종을 연기하시기 바랍니다.

 

<예방접종 받을 때>

 

- 의료기관 방문시 접종 대상자, 보호자 모두 마스크를 착용하시기 바랍니다.

 

- 의료기관 방문시 비누와 물로 손씻기나 65% 이상 알콜로 손위생을 실시하시기 바랍니다.

 

-대기하는 동안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안정을 취하시기 바랍니다.

 

-예방접종 전 예진 시, 현재 아픈 증상이 있거나 평소 앓고 있는 만성질환이 있다면 반드시 의료인에게 말씀하시기 바랍니다.

 

-접종후에는 15~30분간 접종기관에서 이상반응이 있는지 관찰하고 귀가하시기 바랍니다.

 

<예방접종 받은 후>

 

- 접종 당일은 몸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쉬고, 고강도 운동이나 활동, 음주 등을 삼갑니다.

 

-예방접종 후 접종 부위의 통증, 빨갛게 부어오름, 부종이나 근육통, 발열, 메스꺼움 등 경미한 이상반응은 접종 후에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대부분 1~2일 이내 호전됩니다.

 

 

-그러나 접종 후 고열이나 호흡곤란, 두드러기, 심한 현기증 등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의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어르신의 경우, 예방접종 후 혼자 있지 말고 다른 사람과 함께 있어 증상발생시 도움을 받도록 합니다.

모두의 건강을 위하여 독감예방접종 사전예약을 통하여 예약하시어 건강을 지키는 겨울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독감예방접종 사전예약 알아보기 포스팅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자영업자 손실보상 및 소상공인 손실보상 알아보기

자영업자 손실보상 및 소상공인 손실보상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지난 8일 올해 3분기(7~9월)사이에 거리두기 방역강화에 따라 매출이 줄어든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에게 1억원 한도에서 손실의 80%

nan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