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3일부터 강화된 거리두기 조치 일환으로 방역패스 유효기간이 적용되는데 유효기간이 3개월인지 6개월인지 의견이 분분하여 많이들 헷갈리고 계신 것 같아 자세히 정리해보았습니다.
방역패스 유효기간 3개월? 6개월?
방역패스 유효기간이 1월 3일부터 본격 적용 됨에 따라서 '방역패스 유효기간'에 대해 3개월설과 6개월설이 대립하고 있습니다만 공식적으로 발표된 바대로라면 백신 2차접종 후 14일이 지난 날부터 유효기간이 시작되어 6개월(180일)을 적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기본접종 자체가 1차였던 얀센을 접종하신 분들이라면 1차 접종일을 기준으로 하게 되는데 얀센의 경우 이미 초창기 접종을 하신 분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21년 7월 6일전에 화이자, 모더나 등 2차 접종이 기본 접종이었던 분들과 얀센 1차 접종을 완료한 사람이라면 3일 일괄 만료가 되어 유효 기간이 만료가 되기 때문에 사실상 백신 미접종자와 같이 분류가 되어 방역패스 제한시설인 유흥시설, 식당, 카페, 노래연습장 등의 시설 이용 또한 제한이 됩니다.
3차 접종은 언제까지?
이미 1차 얀센접종과 1, 2차 모더나, 화이자 등을 접종하신 분들이라면 3차 접종시 그 즉시 방역패스를 적용받을 수 있어 급하게 필요하신 분들이라면 당일 접종이라도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다만 정부에서는 방역패스 유효기간 적용을 3일부터 9일까지 1주일간 계도기간을 거쳐 확정하며 실질적 과태료 부과 및 행정처분은 10일부터 실시하며 관리, 운영자는 300만원 이하(1차 150만원, 2차 이상 300만원), 위반한 개인은 10만원 이하가 부과됩니다.
방역패스 어플 업데이트
방역패스 유효기간을 증빙해주는 큐브, 카카오, 네이버, 토스 등 방역패스 어플은 앞으로 3차 접종과 2차 접종 후 경과일을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유효기간이 적용되는 3일 전에 자주 사용하는 어플을 미리 업데이트 하는 것이 좋습니다. 업데이트시 접종 완료자인 경우 '접종 완료자'라는 안내멘트가 미접종자 혹은 유효기간 만료인 경우 '딩동' 소리만 나기로 하여 구분된다는 점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당초 2일로 종료될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는 2주 더 연장하게 되어 사적모임 4인, 다중시설 운영 시간 밤 9시 혹은 10시인 제한 조치도 그대로 유지되며 그동안 방역수칙 예외 시설이었던 대형마트, 백화점, 농수산물유통센터인 경우에도 계도기간을 거쳐 17일부터 본격 단속을 실시한다는 점 역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강화될 때마다 제도가 너무 자주 바뀌어 내용을 정확히 숙지하기가 어려워 내용이 바뀌는 것은 너무 부담스럽지만 과태료 등 행정처분을 맞지 않기 위해서는 정확히 숙지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내용을 잘 알고 계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이상으로 방역패스 유효기간 자세히 알아보기 포스팅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