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청년은 만 19세부터 만 34세까지로 나라에서 딱 지정을 해주었습니다. 이러한 청년들을 위하여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여러 정책들을 만들어 주고 있는데 청년이라면 바로 활용을 해봐야할 것 같습니다. 오늘은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내일저축계좌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청년저축계좌와 같이 읽으면 좋은 글 +
청년 내일채움공제 22년 변경사항 신청방법(링크 추가) 중도해지 등 세부사항 알아보기
청년희망적금
우리 부모님 세대때만 하더라도 적금 이자가 10% 정도가 되었으니 목돈을 모으기가 사실 지금 우리 보다는 쉬웠다고 말씀을 드릴 수 있을 것입니다.(아니, 사실은 어느 세대나 돈 모으는 건 힘들다는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그러다 보니, 요즘 청년들은 돈을 모으는 '적금'보다는 가상화폐를 위시한 가상자산 혹은 주식투자로 눈을 돌리기 쉽습니다. 그래서 청년희망적금은 조금은 안정적이면서 시중 금리보다는 우대를 해 줄 수 있어 어쩌면 안정적 목돈마련에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청년희망적금 조건 : 만19세에서 만34세로 총 급여가 3,600만원 이하거나 종합소득이 2,400만원 이하
- 청년희망적금 혜택 : 2년 만기 적금 가입 시, 월 50만원 납입시 원금 1,200만원을 1년차 2%, 2년차 4%를 추가 금리를 적용하여 최대 36만원의 추가 혜택이 부여됩니다.
청년희망적금 적용 예시
(1년차) 월 50만원 납입, 원금 600만원(+ 이자 12만원)
(2년차) 월 50만원 납입, 원금 1,200만원(+ 이자 24만원)
(정리) 시중금리 2% 적용 이자 187,500원, 저축장려금 36만원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청년층 자산 형성을 목적으로 운영하는 저축제도로 최대 3배의 돈을 매칭시켜 적립하게 하는 제도로 사회초년생들에게 목돈 형성 기회를 제공합니다.
- 청년내일저축계좌 조건 : 만19세에서 만34세로 총 급여가 2,400만원 이하
- 청년내일저축계좌 혜택 : 3년 만기 적금 가입시 월 10만원 납입시 최대 1,440만원까지 형성 가능
청년내일저축계좌 적용 예시
월 10만원 납입시 1:1 정부매칭 지원(수급자, 차상위 청년은 1:3매칭)하여 본인부담금 360 + 정부지원금 360~1,080)으로 최대 1,440만원 + 시중 이자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연소득 5,00만원 이하를 대상으로 연 600만원 한도로 3~5년 가입하면 납입액의 40%를 소득공제 받을 수 있어 연600만원에 3년 만기 펀드를 가입시 원금 1,800만원에 펀드수익금 + 소득공제 720만원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지자체별 청년희망적금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월 소득 255만원 이하인 청년에 2, 3년간 월 10만원 혹은 15만원을 적립시 같은 금액을 매칭해 자산형성에 기여할 수있는 제도입니다.
부산시 청년희망날개통장
기준중위소득 80% 이하 청년이 3년간 월 10만원을 적립하면 같은 금액을 매칭하여 지원해줍니다.
대구시 청년희망적금
월소득 50~180만원 단기 일자리에 청년이 종사하는 경우 월 10만원씩 적립시 월30만원을 3배로 매칭해 주어 자산형성에 기여하는 제도입니다.
이상으로 22년 청년저축계좌(청년희망적금, 청년내일저축계좌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2022 청년적금에 관심을 가지셔서 목돈 마련에 성공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청년 내일채움공제 22년 변경사항 신청방법(링크 추가) 중도해지 등 세부사항 알아보기
'무엇이든 알아봐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년 공무원 봉급표 공무원보수규정 확정 정근수당 명절수당 계산해보기 (0) | 2022.01.04 |
---|---|
22년 육아휴직 급여 알아보기 (0) | 2022.01.04 |
2022년 영아수당 30만원 신설과 논란 알아보기 (0) | 2022.01.03 |
청소년 방역패스 나이, 기준, 학원 이모저모 총정리 (0) | 2022.01.03 |
청년 내일채움공제 22년 변경사항 신청방법(링크 추가) 중도해지 등 세부사항 알아보기 (0) | 2022.01.02 |
댓글